[빼먹은거 추가+] 바이브 무선킷 연결 끊김 문제
안녕하세요.
바이브나 프로의 무선킷을 사용하다보면, 생각지도 못한 문제가 몇개 발생합니다. 화면이 갑자기 회색으로 바뀐다던가, USB 연결 소리가 계속 반복된다던가...., 아예 검은색으로 되면서 화면이 나가는것 등등...
위는 제가 겪은 사례들 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별별 조치를 다취하고 있지요. 인터넷으로 찾아본 해결방법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0. PCIeGenConfig.exe 실행
가장 마지막으로 썼고, 최종적으로 적용했던 것입니다.(페이셜 트래커 장착후 다시금 문제가 발생했었습니다.) 원본은 레딧 에서 보실수 있습니다. 이 파일이 하는 역할은 저도 모르겠습니다. 레딧 사용자에 의하면 WiGig 카드가 일부 PCIe 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는군요. 아무튼... 혹시 모르니 이것을 먼저 수행해 보는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바이브나 프로의 무선킷을 사용하다보면, 생각지도 못한 문제가 몇개 발생합니다. 화면이 갑자기 회색으로 바뀐다던가, USB 연결 소리가 계속 반복된다던가...., 아예 검은색으로 되면서 화면이 나가는것 등등...
위는 제가 겪은 사례들 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별별 조치를 다취하고 있지요. 인터넷으로 찾아본 해결방법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1. 기본제공 USB 케이블의 손상 : 내구력이 상당히 약합니다.
2. 무선 어댑터의 내부 온도 문제 : 제 장비의 경우, 로그에 섭씨 94도 찍은게 있더군요.
3. 기본 배터리 문제 : 배터리의 잔량이 떨어지면, 출력에 문제가 생기는 제품도 있는듯..
4. 베이스스테이션/무선링크박스의 트래킹 문제 : 제 장비중 1개가 소음이 좀 심했어요.
- 밝은 빛에 노출된 상태같은 트래킹에 문제가 될만한 상태에서도 발생한다고 합니다
5. 시스템(운영체제) / VIVE 드라이버 / 스팀VR 재설치0. PCIeGenConfig.exe 실행
가장 마지막으로 썼고, 최종적으로 적용했던 것입니다.(페이셜 트래커 장착후 다시금 문제가 발생했었습니다.) 원본은 레딧 에서 보실수 있습니다. 이 파일이 하는 역할은 저도 모르겠습니다. 레딧 사용자에 의하면 WiGig 카드가 일부 PCIe 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는군요. 아무튼... 혹시 모르니 이것을 먼저 수행해 보는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실행후 ENABLE을 클릭하시고, HMD를 다시 연결하여 테스트해 봅니다. 저는 아직 긴 시간을 테스트하지 못하였으니 효용성이 없다면 다시 수정하겠습니다.
1. USB 케이블 변경
** 변경 후, 랜덤으로 발생하던 끊김은 해결되었습니다. 몸을 움직이던 중 접촉 불량등이 발생 했던거 같아요.
2. 무선 어댑터의 내부 온도 문제
랜덤으로 화면이 나가는 문제가 해결되니, 일정 시간 플레이하면 끊기는 문제가 확인되었습니다. 무선 사용시 내부 온도가 계속 올라가는데, 한계점에 다다르자 끊기는 문제였습니다.
인터넷에 도는건 대부분 40mm 짜리 팬을 달던데, 전 그냥 60mm 짜리 달았습니다. 소비전력도 거기서 거기인지라. 대신 RPM은 좀 밀리더군요. 장착은 글루건으로 했습니다.
** 조치 후, 장시간 사용시 끊기는 문제가 어느정도 해결되었습니다.
3. 기본 배터리 문제
무선 쓴지 1년이 넘어서 그런지, 기본 배터리가 스팩상 10,000mAh에 가까움에도 불구하고, 50분을 버티지 못하더군요. 그래서 구입한지 얼마 안된 QC3.0(필수) 지원하는 배터리를 장착해서 써봤습니다. 1시간 50분을 버티는데, 두 배터리 모두 공통적으로 잔량 표시계에 불이 1개(20%이하? 정도 일려나요)만 들어오면 화면이 나가는 것 이었습니다.
아무래도 배터리 잔량이 떨어지면 안정성이 떨어져 출력이 변동하는게 아닐까 싶어서 20,000mAh 짜리 배터리를 달아서 써봤습니다. 이 부분은 이걸로 해결.
4. 베이스스테이션/무선링크박스의 트래킹 문제
베이스스테이션이 HMD(머리에 쓰는 장비)를 인식하지 못하면 끊김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제 장비는 소음이 커서 보내긴 했습니다만... 다음의 5번을 수행하기 전에 테스트를 안해봐서 제 장비의 경우에 해당하는지는 모르겠군요.
** 매우 밝은 직사광선 같은데 노출되지 않게 하세요.
** 주변에 거울, 유리등과 같이 빛을 반사하는 것들이 있는지 확인하세요. (광학식의 단점)
** 주변에 IR 리모콘(=각종 리모콘들)이 있으면 잘 치워주세요.
** 무선링크박스(무선 부품 중 PC에 연결하는 센서)의 높이를 눈높이 정도로 올려주세요.
5. 시스템(운영체제) / VIVE 드라이버 / 스팀VR 재설치
지금까지 1, 2, 3, 4의 모든 조치를 취했지만, 개선이 될지언정 문제가 해결되진 않더군요.
A/S보낸 베이스스테이션이 아직 안와서 온전한 결과는 아니지만, 결국 윈도우 재설치하고, VIVE 설정 프로그램과 Eye tracking 프로그램, 스팀VR을 다시 설치했습니다.
실행시 매우 높은 확률로 문제가 발생하던 NEOS VR을 2일동안 하루평균 1시간 30분에서 2시간 정도 돌려보고 있는데 아직까지 문제없이 동작하고 있습니다.
1. USB 케이블 변경
![]() |
(검은색 케이블이 정품) |
2. 무선 어댑터의 내부 온도 문제
랜덤으로 화면이 나가는 문제가 해결되니, 일정 시간 플레이하면 끊기는 문제가 확인되었습니다. 무선 사용시 내부 온도가 계속 올라가는데, 한계점에 다다르자 끊기는 문제였습니다.
![]() |
60mm 짜리 USB 팬 장착 |
** 조치 후, 장시간 사용시 끊기는 문제가 어느정도 해결되었습니다.
3. 기본 배터리 문제
무선 쓴지 1년이 넘어서 그런지, 기본 배터리가 스팩상 10,000mAh에 가까움에도 불구하고, 50분을 버티지 못하더군요. 그래서 구입한지 얼마 안된 QC3.0(필수) 지원하는 배터리를 장착해서 써봤습니다. 1시간 50분을 버티는데, 두 배터리 모두 공통적으로 잔량 표시계에 불이 1개(20%이하? 정도 일려나요)만 들어오면 화면이 나가는 것 이었습니다.
아무래도 배터리 잔량이 떨어지면 안정성이 떨어져 출력이 변동하는게 아닐까 싶어서 20,000mAh 짜리 배터리를 달아서 써봤습니다. 이 부분은 이걸로 해결.
4. 베이스스테이션/무선링크박스의 트래킹 문제
베이스스테이션이 HMD(머리에 쓰는 장비)를 인식하지 못하면 끊김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제 장비는 소음이 커서 보내긴 했습니다만... 다음의 5번을 수행하기 전에 테스트를 안해봐서 제 장비의 경우에 해당하는지는 모르겠군요.
** 매우 밝은 직사광선 같은데 노출되지 않게 하세요.
** 주변에 거울, 유리등과 같이 빛을 반사하는 것들이 있는지 확인하세요. (광학식의 단점)
** 주변에 IR 리모콘(=각종 리모콘들)이 있으면 잘 치워주세요.
** 무선링크박스(무선 부품 중 PC에 연결하는 센서)의 높이를 눈높이 정도로 올려주세요.
5. 시스템(운영체제) / VIVE 드라이버 / 스팀VR 재설치
지금까지 1, 2, 3, 4의 모든 조치를 취했지만, 개선이 될지언정 문제가 해결되진 않더군요.
A/S보낸 베이스스테이션이 아직 안와서 온전한 결과는 아니지만, 결국 윈도우 재설치하고, VIVE 설정 프로그램과 Eye tracking 프로그램, 스팀VR을 다시 설치했습니다.
실행시 매우 높은 확률로 문제가 발생하던 NEOS VR을 2일동안 하루평균 1시간 30분에서 2시간 정도 돌려보고 있는데 아직까지 문제없이 동작하고 있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